2007. 11. 14. 19:15

독일 가볼만한 관광지 정리

- 바이에른(Bayern)주
국토면적에서 가장 큰 주이며 알프스에서부터 도나우강과 마인강에 걸쳐 위치해 있다. 이 주의 수도인 뮌헨(M nchen)은 독일 연방공화국의 고등교욱 기관의 본산이며, 독일 박물관의 중심지이기도 하다. 또한 수많은 역사적인 건물과 예술품을 가지고 있다.
바이에른의 민속중에 뮌헨에서 매년 9월 셋 째주부터 10 첫째주 일요일까지 열리는 일종의 맥주 축제인 옥토버훼스트 가 있다. 첨단 기술의 중심지인 뮌헨은 독일의 중요한 경제적 심장부의 하 나로 현대산업의 중심지이다. 항공산업 업체, 지멘스, AEG, BMW 같은 세계 적인 전자 및 자동차 회사들이 위치하 있다.

- 바덴뷔르템베르크(Baden-W rttemberg)주
바덴뷔르템베르크 서쪽은 라인강 상류를 따라 프랑스 알자스 지방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. 이 주는 독일 자유주의 시인이자 철학자 프르드리히 쉴러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고향이다.
슈투트가르트(Stuttgart) 가 수도로, 유명한 벤츠와 보쉬 같은 회사가 위치하고 있으며, 독일 최대의 포도주 생산지이다. 세번째로 큰 도시인 칼스루에(Karlsruhe)는 독일연방 헌법 재판소와 기타 연방 재판소가 위치해 있고 물리학의 중심지이 다. 또한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이 있으며 관광도시로서 유명한 하이델 베르크시는 인쇄기기 생산과 독일 의학의 중심지이다.

- 라인란트 팔츠(Rheinland-Pfalz)주
수 도인 마인즈(Mainz)는 서기 4세기경, 로마 통치자들이 일찍부터 거주하여 지금도 그 당시의 유적이 많이 있다. 로마의 기독교 영향을 많이 받은 도시로, 이 곳에서 15세기경 요하네스 구텐버그가 인쇄술을 발명하였다. 또 한 칼 마르크스가 이 주의 한 도시인 트리어(Trier)에서 태어났다.

- 자를란트(Saarland)주
독일에서 가장 작은 주로 프랑스와 룩셈부르크와 국경을 접하고 있고 석탄, 철광산업으로 유명하다. 1차 대전 직후 이곳은 국제연맹 통치하에 있었으나, 1935년 국민투표에 의해 대다수의 자 란트 국민들이 독일 영토로 재 통합되는 안에 찬성함으로써 독일로 편입되었다.

- 헤센(Hessen)주
독일 중앙부에 위치해 있으며 라인-마인(Rhein-Main) 삼각지대는 라인-루 트(Rhein-Ruhr) 지역 다음가는 독일에서 두번째로 중요한 산업중심지이다.
프 랑크푸르트(Frankfurt)는 국제항공 수송의 주요 거점이며, 독일의 가장 중요한 금융중심지로서 독일 연방은행(Deutsche Bundesbank)이 있는 도시이 다. 괴테의 생가가 있는 프랑크푸르트에는 매년 국제도서전시회를 비롯한 수많은 국제적 전시회가 개최되고 있다. 성 바오로 교회(Pauls Kirche)에서 1848년과 49년 사이에 첫 독일 국민의회가 헌법을 기초하였으며 이것은 그 후 100년 뒤 독일 연방기본법의 근간이 되었다.
독일국기의 검정, 빨강, 노랑색은 이 때의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의 결의안에서 찾아볼 수 있다. 이 주의 수도인 비스바덴(Wiesbaden)은 휴양지로 알려져 있다.

-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(Nordrhein-Westfalen)주
이 주 서쪽에 벨기에와 네덜란드가 접해 있다. 구 서독의 수도인 본(Bonn) 에서는 베토벤을 기념하는 베토벤 축제가 3년마다 열리고 있으며, 본 대학 에서는 칼 마르크스와 하인리히 하이네가 수학을 하기도 했다.
쾰른(K ln) 은 이 주의 가장 큰 도시로서 성당이 유명하다. 쾰른의 인근에는 독일 최대 의 화학·의학회사인 바이엘(Bayer)이 자리잡고 있는 레버쿠젠(Leverkusen) 이 있다.
수 도인 뒤셀도르프(D sseldorf)는 하이네의 출생지이며 많은 산업 체들의 행정 중심지이다. 이 밖에 도르트문트(Dortmund), 두이스부르크 (Duisburg), 에센(Essen)은 루르지 에서 가장 유명한 도시들이며, 두이스 부르크에는 유럽최대의 내륙항구가 있고, 도르트문트는 독일 최대의 주류 생산업체의 본거지이다.

- 니더 작센(Niedersachsen)주
면 적은 독일에서 두번째로 크며 지형은 평야와 낮은 들로 구성되어 있 다. 수도인 하노버(Hannover)에서는 전세계의 산업생산업체들이 모이는 박 람회가 개최되고 있다. 뮌스터(M nster)를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면 1648년 30년간의 전쟁이 끝난 평화의 베스트 팔렌(Westfalen)이 있는 오스나브뤼크 (Osnbr ck)에 다다른다.

- 슐레스비히 홀스타인(Schleswig-Holstein)주
북해와 발틱해에 접해있는 주로서 양돈 및 기타 가축사육이 발달되어 있고 ,조선산업이 발틱해 연안 항구를 따라 발달되어 있다.

- 베를린(Berlin)
통독과 더불어 독일의 새 수도로 확정된 베를린은 과거 1871∼1945년에 걸 쳐 독일제국의 수도였다. 이 도시는 1948∼49년 냉전으로 인해 정치적으로 동·서로 분리되어, 1961년 소련통치지역은 벽과 철조망으로 서부지역으로 부터 완전 분리되었다.
20개가 넘는 극장, 대규모 오페라 하우스,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이 있으며 베를린 필 하모니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. 베를린 은 샤를로텐부르크 성과 같은 역사적인 건물과 새로운 현대식 건축물들이 대조를 이루고 있다.

- 함부르크(Hamburg)
자유와 한자동맹 도시인 함부르크는 시와 주가 혼합된 독일의 제 2의 도시 이다. 엘베강가에 자리잡고 있는 함부르크는 독일 최대의 항구이며 인구 160만의 대도시로서 조선소, 정유소, 가공공장, 소비재 산업체들이 있다.
작 곡가 브람스는 함부르크에서 태어났고, 함부르크 주립 오페라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음악무대이다. 예술 및 과학분야, 박물관 그리고 해양, 열대병 연구소 등 특수연구소들이 위치하고 있으며, 다수의 신문, 잡지 발행사들, 영화제작소, 공영라디오, TV회사와 통신사들이 위치해 있어, 언론의 중심지 이기도 하다.

- 브레멘(Bremen)
브레 멘과 브레머 하펜(Bremerhaven)은 하나의 자유 한자동맹 도시 브레멘 으로 유명한 주를 형성하고 있다. 이 곳은 일 최대의 곡물, 목화, 담배, 커피, 차 수송 항구이고, 해운회사, 조선회사, 철강회사, 항공산업체들이 있다. 또한 함부르크에 이어 독일의 두 번째 주요항구이고, 10년에 걸쳐 건 축된 독일 해양 박물관 있다.

- 멕클렌부르그-폴 멘(Mecklenburg-Vorpommen)
동 북부에 위치하는 관계로 북유럽, 동유럽 국가들과 교량역할을 하며, 수 도인 슈베린(Schwerin)과 노이브란덴부르그(Neubrandenburg)는 기계산업, 조선산업, 식품가공업이 주종을 이루지만, 시설 노후로 상당히 려움을 겪고 있다.

- 브란덴부르그(Brandenburg)
베를린을 에워싸고 있고, 머지않은 장래에 베를린과 통합할 가능성이 있어 공업단지 입지조건과 사회간접자본 확대의 가능성이 큰 주이다. 주종 산업 은 자동차 산업, 철강, 식품가공업, 에너지 산업이며, 관광은 주 경제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.

- 작센-안할트(Sachsen-Anhalt)
평야지대로서 농업 위주로 발달되어 있으며 산업의 중심은 화학산업과 자 본재 산업이다. 막데부르그(Magdeburg), 데사우(Dessau)와 할레(Halle)가 교통요지이다.

- 튀링겐(Th ringen)
역 사적 성곽과 궁전이 많은 문화와 예술의 주로서 "독일의 푸른 심장"이라 고 불리고 있다. 취링겐 경제는 중소기업형 산업들이 분산되어 있고 자동 차, 광학, 극소전자공학 등 첨단산업 부문과 유리, 의류, 도자기 산업 같은 전통 지향적 산업이 혼재되어 있다. 특히 관광산업은 무시할 수 없다.

- 작센(Sachsen)
구동독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높고 공업화된 지역으로 주요 산업은 섬유, 기계제조, 에너지 산업이고, 마이센 도자기는 전 세계적으로 높은 명성을 가지고 있다.

2007. 11. 14. 09:45

국가/도시별 전압/플러그 리스트

A형 브라질, 캐나다, 일본, 태국, 베트남, 미국 전압 브라질, 캐나다, 일본, 태국, 베트남, 미국

B형 일본, 필리핀, 미국, 콜롬비아 전압 일본, 필리핀, 미국, 콜롬비아 등

C형 독일, 네덜란드, 스위스, 이집트, 인도, 파라과이 전압 독일, 네덜란드, 스위스, 이집트, 인도, 파라과이

D형 인도, 홍콩, 스리랑카, 요르단, 그리스 전압 인도, 홍콩, 스리랑카, 요르단, 그리스 등


여기서 B형 플러그는 A형 플러그를 사용하는 나라에서 대부분 사용가능합니다.
(예외국가: 방글라데시, 캄보디아, 중국, 페루, 태국, 베트남, 예멘)


또, C형 플러그는 E, F, L 플러그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대부분 병행사용이 가능합니다.


E형 폴란드, 체코, 프랑스, 인도네시아, 라오스 전압 폴란드, 체코, 프랑스, 인도네시아, 라오스 등

F형 한국, 오스트리아, 독일, 프랑스, 그리스, 터키 전압 한국, 오스트리아, 독일, 프랑스, 그리스, 터키 등

G형 중국, 홍콩, 쿠웨이트, 싱가폴, 영국, 베트남 전압 중국, 홍콩, 쿠웨이트, 싱가폴, 영국, 베트남 등

H형 이스라엘 전압 이스라엘 등


여기서 E형 플러그는 C, F 형 플러그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대부분 병행사용이 가능합니다.


I형 호주, 뉴질랜드, 파나마, 아르헨티나, 우루과이 전압 호주, 뉴질랜드, 파나마, 아르헨티나, 우루과이

J형 엘살바도르, 이디오피아, 스위스 전압 엘살바도르, 이디오피아, 스위스 등

K형 방글라데시, 덴마크, 그린란드 전압 방글라데시, 덴마크, 그린란드 등

L형 칠레, 쿠바, 엘살바도르, 이디오피아, 이탈리아 전압 칠레, 쿠바, 엘살바도르, 이디오피아, 이탈리아 등


아래의 [국가/도시별 전압 및 플러그 리스트]는 해당국가의 일반적인 주거/상업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압/Hz 입니다. 주의할 점은 한 국가 내에서도 지역이나 도시에 따라 전압이나 사용 플러그 모양이 다를 수도 있다는 것이죠. 중국이나 러시아 연방 등과 같이 넓고 큰 나라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 집니다. 따라서 본인이 여행할 국가뿐만 아니라 도시까지 염두에 두고 전압과 플러그를 확인해야 합니다.


[국가/도시별 전압/플러그 리스트]
 

아시아/중동 (Asia)

국가명

Hz

전압

플러그 타입

일본

50/60

100

A, B

중국

50

110/220

A, I, G

홍콩

50

200

D, G

마카오

50

220

D, G

대만

60

110

A, B

태국

50

220

A, C

필리핀

60

220

A, B, C

베트남

50

127/220

A, C, G

싱가폴

50

230

G

인도네시아

50

127/230

C, F, G

말레이시아

50

240

G

브루나이

50

240

G

인도

50

230

C, D
네팔 50 230 C, D
몰디브 50 230 A, D, G, J, K, L
캄보디아 50 230 A, C
미얀마 50 230 C, D, F, G

방글라데시

50

230

A, C, D, G, K
스리랑카 50 230 D

요르단

50

220

D, F, G, J

이란

50

220

C

사우디 아라비아

60

127/220

A, B, F, G

터키

50

230

C, F
파키스탄 50 230 C, D
레바논 50 230 A, B, C, D, G
리비아 50 127 D
카타르 50 240 D, G
이스라엘 50 230 C, H

쿠웨이트

50

240

C, G

유 럽 (Europe)

국가명

Hz

전압

플러그 타입

영국

50

240

G

프랑스

50

127/220

E

독일

50

230

C, F

이탈리아

50

127/220

F, L

네덜란드

50

220

C, F

벨기에

50

127/220

E

덴마크

50

220 C, K

핀란드

50

230 C, F

노르웨이

50

220/230

C, F

스웨덴

50

220 C, F

스위스

50

230 J

오스트리아

50

220 C, F

그리스

50

220 C, D, E, F

스페인

50

230 C, F

포르투갈

50

220 C, F
룩셈부르크 50 220 C, F
아이슬란드 50 220 C, F

러시아 (구 소련)

50

220 C, E, F
카자흐스탄 50 220 C
우크라이나 50 220 C
우즈베키스탄 50 220 C, I

루마니아

50

230

C, F

폴란드 50 220 C, E
체코 50 230 E

헝가리

50

230 C, F

북미 / 남미

국가명(州別)

Hz

전압

플러그 타입

미국

60

120

A, B

캐나다

60

120

A, B

멕시코

60

127

A

브라질

60

127/220

A, B, C

아르헨티나

50

220

C, I

칠레

50

220

C, L

니카라과

60

120

A

베네수엘라

60

120

A, B

볼리비아

50

115/220/230

A, C

콜롬비아

60

110

A, B

우루과이

50

220

C, F, I

파라과이

50

220

C
자메이카 50 110 A, B

페루

60

220

A, B, C

파나마

60

110/120

A, B

쿠바

60

110/220

A, B, C, L
 

오세아니아 / 대양주

국가명(州別)

Hz

전압

플러그 타입

호주

50

240

I

뉴질랜드

50

230

I
60 110 A, B
파퓨아 뉴기니 50 240 I

피지

50

240

I

타히티

50

110/220

A, B, E
 

아프리카

국가명(州別)

Hz

전압

플러그 타입

이집트

50

220

C

케냐

50

240

G

나이지리아

50

240

D, G
남아프리카 공화국 50 220/230 M
카메룬 50 220 C, E
이디오피아 50 220 D, J, L
튀니지 50 230 C, E
세네갈 50 230 C, D, E, K
가봉 50 220 C

잠비아

50

230

C, D, G

모로코

50

127/220

C, E


실제 모양은 아래와 같습니다.

유럽뿐만 아니라 전세계 어느 곳에서 사용이 가능한 일체형 플러그이다.

단..100~120V를 사용하는 미국, 캐나다, 일본 등 에서는 승압용 트랜스가 필요하다.

유럽의 여러나라를 여행할 경우 꼭 들고 가야할 필수품 이다.

그림 1 image


그림 2는  영국, 홍콩, 싱카폴 등 에서 사용하는 플러그 이다.

그림 2 image


그림 3은 호주, 뉴질랜드, 피지, 중국 등에서 사용하는 플러그 이다.

그림 3 image


그림 4는 프랑스, 독일 등지에서 사용하는 플러그 이다.

그림 4 image


그림 5는 인도, 사우디 아라비아 등에서 사용하는 플러그 이다.

그림 5 image


그림 6은 스위스, 이탈리아, 노르웨이 등 북유럽에서 사용하는 플러그이다.


그림 6 image



출처: 위드공구

2007. 11. 8. 21:11

귀엽고 어려보이는 바가지 머리?

image

마치 바가지를 연상시키는 뱅 스타일로 머리 꾸민 스타들!

이렇게 앞머리를 일자로 자른 '뱅 스타일'은 로마의 휴일에서 오드리 헵번이 하고 나와 유행했던 스타일인데요.

[박철/헤어디자이너 : 추울 때 머리가 내려오는 자체도 따뜻함을 느낄 수가 있어서 금년 겨울은 충분히 갈 것 같고요.]

작년에 유행했던 짧고 가벼운 스타일 대신 앞머리가 눈썹선까지 내려오면서 여성스러움을 가미한 스타일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.

마치 아이처럼 똑바로 자른 앞머리는 훨씬 어려보이고 이목구비가 또렷해 보여 여성들이 선호하고 있습니다.

[신소영/양천구 목동 : 예전에 바가지 머리 하면 촌스러웠는데, 스타들이 하고 나오는걸 보니 귀엽고 어려 보여서 한번 해보고 싶다.]

[김초람/강남구 역삼동 : 텔레비전에서 연예인들이 하고 나오고 유행하는 스타일이라서 나도 한번 해보고 싶었다.]

하지만 이마가 심하게 좁거나 턱이 짧은 사람은 뱅 헤어를 하면 자칫 답답해 보일 수 있습니다.

또 얼굴이 크거나 턱에 각이 심한 경우는 오히려 얼굴이 커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
인상을 결정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머리 모양인데요.

올 시즌 과감한 '뱅 스타일'로 나만의 개성을 표현해보는 것은 어떨까요.

 

출처: SBS TV

2007. 11. 7. 08:22

환전할때 꼭 확인해야 할 5가지

고시환율 싼 은행 찾기
각 은행에서는 일반고객을 상대로 그날그날 은행간 외환시장에서 거래되는 스팟환율을 기준으로 은행에 따라 몇 %의 마진을 붙여서 매매기준율로 고시하고 있습니다.
고시환율은 시장환율에 따라 하루에도 몇 번씩 바뀔 수도 있으며 각 은행마다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.
이때 환율을 그 만큼 낮게 고시하는 은행에서 환전하면 그 만큼 원화가치를 높게 평가받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외화를 바꿀 수 있습니다.


환전수수료 싼 은행 이용하기
우리가 실제 거래할 때는 각 은행별로 매매기준율에 일정부분 수수료를 더한 값으로 환전합니다.
즉, 환율표의 매매기준율을 기준으로 현찰살때 환율, 팔때 환율 등을 정하고 있는데 매매기준율과 현찰살때 환율, 팔때 환율 등과의 차액이 바로 환전수수료 입니다.
그 러므로 각 은행에서 수시로 고시해주는 현찰살때 환율, 팔때 환율이 실제로 거래되는 가격이므로 매매기준율이 같다하더라도 현찰살때 환율이나 팔때 환율등의 수치가 높을수록 환전수수료를 많이 받는 것이므로 은행별로 비교해서 결정하면 조금 더 싸게 환전할 수 있습니다
미국달러로 예를 들어 보면,

매매기준율 ₩1000일때 현찰살 때 ₩1017.50 이라면
현찰살 때(₩1017.50) - 매매기준율(₩1000) = ₩17.50 -> 환전수수료
또한 (현찰살 때/매매기준율)-1 = 1.75% -> 수수료율

만약 미화 1,000불을 50% 할인시,

1.75% x 50% = 0.875% -> 50% 할인한 수수료율
₩1000 x (1+0.875%) = ₩1008.75 -> 50%할인한 1불당 원화가격
1000불 x ₩1008.75 = ₩1,008,750 (50% 할인)
1000불 x ₩1017.50 = ₩1,017,500 (일반 환율)

이처럼 1000불을 환전수수료 50% 할인 받으면 8,750원을 더 싸게 살수 있습니다.


인터넷 환전 활용하자
각 은행들이 홈페이지를 통해 운영 중인 인터넷 환전서비스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출 발 직전 공항에서 환전할 경우엔 가장 비싼 수수료를 물 뿐 아니라 각종 부가 서비스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인터넷 환전을 이용하면 은행 창구에 가서 줄을 서는 불편함이 없을 뿐 아니라 은행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최고 50~70%의 수수료를 할인 받을 수도 있습니다.
인터넷 환전 서비스는 대부분의 은행들이 미화,엔화,유로화에 한정해 제공하고 있고 환전시 수령점을 지정하고 수령인이 직접 방문하여 찾을 수 있습니다.
인터넷환전을 위해서는 각 은행의 인터넷뱅킹에 가입해 은행 홈페이지에서 환전을 선택해 환전할 수 있는데 환전할 당시의 환율로 거래가 완료되며, 환전한 외화는 은행이 보관하고 있다가 고객이 은행을 방문할 때 지급합니다.
외환은행의 경우는 인터넷 공동구매 형태인 '환전클럽'을 운영하고 있는데 클럽에 가입한 회원이 사이버환전을 할 경우 가입한 클럽의 인원수와 총금액을 기준으로 환전수수료를 최고 70%까지 우대 받을 수 있습니다.


주거래 고객이 되자
보통 은행들은 우수고객, 주거래 고객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주는 서비스가 있는데 각 은행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되는 고객들은 외화 환전시에도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으므로 미리미리 체크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


은행 환전 이벤트를 최대한 활용하자.
여름 휴가철을 맞아 각 은행들은 환전 이벤트를 열고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환전수수료 할인에 여행자 보험가입 등 푸짐한 경품도 받을 수 있으므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2007. 11. 6. 09:15

스카프 폼나게 메는 방법

스카프는 있으나 촌티나게 메면 맵시도 안난다.

여기 멋지게 스카프 메는 방법을 동영상으로 올린 이가 있어 자료를 공유하고자 한다.